한 사람의 마지막을 위해 꽃을 피우는 엔딩 플로리스트 직무와 연관된 NCS능력단위인 ‘장례공간 화훼장식’과 연계된 NCS학습모듈 내용에 대해 살펴본다.
글 김해랑
♦ 능력단위명
장례공간 화훼장식
♦ 능력단위 정의
화훼류를 주재료로 자연 재료와 인공재료를 활용하여 고객의 요구와 장례 양식 유형에 따라 장례 공간을 분류하고 환경을 분석하여 유형별로 구상, 제작, 관리하는 능력
♦ 핵심 용어
장례문화, 장례 예식, 근조, 화장, 영정 장식, 빈소재단 장식, 장례공간 화훼장식, 스티로폼, 리스, 관장식
♦ 장례공간 화훼장식과 트렌드
관장식
관 전체 장식과 관 뚜껑 위에 놓는 장식으로 구분한다. 종교적인 장식이 많으며 색채가 많이 사용된다. 관의 디자인과 재료의 특성을 파악하고, 장식의 설치와 고정 방법을 결정해야 한다.
리스 장식
리스 장식은 원형의 형태로 시작과 끝이 없는 영원불멸한 삶의 의미를 가지고 있어 장례공간 화훼장식에 널리 활용된다. 전통적인 리스는 상록수를 주로 활용하여 영원한 삶의 의미를 나타내기도 하였으며, 이승과 저승이 연결된다는 의미로 표현하기도 한다. 원형이 아닌 심장을 상징하는 하트 형태로도 많이 제작되는데, 가운데를 메우거나 뚫린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리스 가운데에 재료를 흘러내리듯 장식하는 것은 슬픔을 표현하는 의미이다.
납골당 액자 화훼장식
장례문화가 보편화되고 납골당에 유골함을 모시는 경우가 많아짐에 따라 납골당용 액자 화훼장식이 널리 보급되고 있다
♦ 장례공간 종합분석
고객 상담
최근 장례문화의 변화와 산업화·도시화 및 사회적 여건 변화에 따라 장례공간 화훼장식 디자인이 다양화되고 있다. 따라서 준비된 시각 자료를 통해서 형태와 디자인을 먼저 제시하고, 고객의 요구에 부응하여 장례공간 디자인을 결정한다. 제시된 자료를 바탕으로 전반적인 장례공간 유형별 형태를 결정한 다음 세부 요소를 선택한다.
장례공간 화훼장식 디자인
장례공간 화훼장식은 상주가 장례식장이나 교회 등에서 장례를 진행하는 공간에 설치하는 꽃장식이다. 여기에는 헌화도 포함된다. 헌화의 의미는 고인을 애도하는 마음에서 비롯되며, 가족과 친지들이 조문 시 지참하거나 장례식이 행해지는 곳으로 보내는 꽃을 말한다.
♦ 우리나라의 대표적 장례공간 화훼장식 디자인
근조화환
일반적으로 상품화되어 있는 대표적 헌화 디자인으로, 1단에서 5단까지 변형된 형태로 널리 사용하고 있다. 50% 이상 흰 국화를 주재료로 하여 다른 꽃들을 조금씩 섞어서 제작한다.
영정 및 제단 장식
영정 제단 장식은 영정 사진을 중심으로 흰색 국화를 줄을 맞추어 대칭적으로 꽂거나, 제단 아래쪽에 바구니 두 개를 대칭으로 배치하여 영정 사진 액자를 중심으로 평면적으로 꽃을 짧게 꽂아 장식한다.
근조 바구니, 근조 꽃다발
근조 바구니, 근조 꽃다발 등은 사용되는 화훼류에 따라 다양하게 제작할 수 있다. 장례식장 화훼장식에 있어서 엄숙하고 깔끔한 색상을 선택하거나 고인이 좋아했던 화훼류를 사용하여 제작하기도 한다. 리본의 색상은 보통 흰색, 검정 등을 이용한다.
관장식, 유골함 장식, 차량 화훼장식
최근 장례공간 화훼장식 디자인 트렌드로 관장식은 관 전체 또는 관 뚜껑을 현대적인 디자인을 활용하여 장식하며, 종교적 색채가 강하다. 유골함 화훼장식은 유골함의 디자인이나 색상을 고려하여 각양각색의 꽃을 이용하여 유골함 뚜껑 위 또는 유골함 전체를 아름답게 장식한다. 차량 화훼장식은 차량의 특정 부분 또는 전체 차량에 안전성과 디자인 구성이 잘 조합될 수 있도록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