능력개발전담주치의 1)
국정과제인 ‘능력개발전담주치의’ 제도의 HRD 서비스 영역을 확대 지원하고 모바일기기를 활용하여 기업 현장에 직접 서비스 제공.
사업주 직업능력개발훈련 2)
혁신형 기업훈련을 통한 기업훈련 지원 다변화 및 기업의 훈련 자율성과 선택권 강화.
하이테크형 공동훈련센터 3)
기존 K-디지털 플랫폼과 첨단산업형 공동훈련센터를 ‘K-하이테크 플랫폼’(50개소 운영)으로 통합 운영. 산업전환 공동훈련센터(30개소 운영)의 참여 유형 다양화.
대중소상생 아카데미 도입
대기업의 고품질 중장기 훈련프로그램을 신규로 제공. 100개 프로그램을 통해 중소기업 근로자의 체계적 역량 향상 도모.
지역·산업맞춤형훈련
지역 전략산업 및 신산업·신기술에 대한 수요 조사 결과를 활용하여, 맞춤형 훈련 과정 개설하여 지원하는 등 중소기업 지원 강화
산업변화 대응 숙련 기술지원
기능경기대회 신기술 분양 직종을 발굴하고 NCS 연계 직종을 개편하여 현장 필요 능력 수준 평가를 강화.
국가자격 디지털 혁신
필답형 CBT 전환 시스템 및 생체인식 기반 스마트 CBT 시험체계, RFID 기반 스마트작품관리시스템 구축.
고객 중심 자격 편의 제공 확대
청년 대상(만 34세 이하) 응시료 50% 지원, 민간 플랫폼(PASS)을 통한 응시자 사진 정보 연계, 피드백 서비스(18만 명) 등 자격 정보 제공 서비스 확대.
디지털 선발 고도화
한국어시험(EPS-TOPIK) 시스템 재구축 및 UBT시행 확대 및 공고화로 안정적인 선발 환경 조성.
외국인력 역량 제고
한국어표준교재(개편) 배포·확산, 기능시험 新 평가 과제 적용, 자가 역량 진단도구 활용을 통해 구직자 직무역량 향상.
외국인 근로자 체류지원 강화
입국 초 적응지원 확대로 근로 안정 및 소수 업종 사업장 맞춤형 체류 지원 강화.
K-Move스쿨 사업다각화
패스트트랙 연수 과정을 신설 및 사후관리 제도 전면 개편 등을 통해 해외 취업 경로를 확대하고 일자리 안전망 강화.
디지털 기반 서비스 혁신
부처(11개)별 청년 해외진출지원사업(19개, 약 2,000명 대상) 정보를 월드잡플러스 통합하여 제공하고 해외 취업경력 직무능력은행제 연계를 통한 정보·콘텐츠 제공 및 사후관리 강화.
1) HRD 전문가가 안내와 상담을 통해 기업을 ‘진단’함과 동시에 맞춤형 훈련 서비스를 제안하여 ‘처방’까지 제공하는 맞춤형 훈련 서비스 지원사업
2) 사업주가 근로자 등을 대상으로 직업능력개발훈련을 실시할 경우 훈련비 등을 지원하여 사업주의 직업능력개발훈련 실시를 촉진하고, 근로자의 능력개발 향상을 도모하는 제도
3) 신기술 중심의 산업구조 변화에 선제적·종합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직업능력개발훈련 및 공유·개방 플랫폼